제약/바이오

성인 되고 갑자기 '이곳'에 각질?…단순 건조증 아닌 '전신질환' 신호

 겨울의 문턱을 넘어서자마자 어김없이 찾아오는 극심한 피부 가려움증과 하얀 각질. 많은 사람들이 이를 단순히 날씨 탓으로 인한 피부 건조증이나 흔한 아토피피부염으로 치부하기 쉽다. 하지만 유아기나 소아기에 주로 발병해 피부가 접히는 부위에 나타나는 아토피와 달리, 성인이 된 이후 팔꿈치나 무릎, 두피 같은 부위에 은백색의 두꺼운 각질이 갑자기 쌓이기 시작했다면 이는 단순한 피부 문제가 아닌 '건선'이라는 만성 염증성 질환의 신호일 수 있다. 건선은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교란을 일으켜 특정 면역세포가 과도하게 활성화되면서, 피부의 각질형성 세포를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증식시켜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미처 떨어져 나가지 못한 각질이 겹겹이 쌓여 은백색의 판을 형성하는 것이다.

 

건선을 단순한 피부 질환으로 가볍게 여겨서는 절대 안 된다. 피부에 나타나는 병변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건선의 근본 원인인 면역계의 이상은 피부뿐만 아니라 전신에 걸쳐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실제로 건선 환자들은 관절에 염증이 생겨 통증과 변형을 유발하는 건선성 관절염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여기서 그치지 않고 비만, 고지혈증, 고혈압과 같은 대사증후군의 발병 위험을 크게 높인다. 심할 경우, 염증 반응이 혈관에까지 영향을 미쳐 심근경색이나 뇌졸중 같은 치명적인 심혈관질환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즉, 건선은 외관상의 문제를 넘어 환자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전신 질환'인 셈이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건선 환자는 약 15만 6,000명에 달하며, 이는 결코 적지 않은 수치다.

 


특히 차고 건조한 바람이 부는 겨울은 건선 환자들에게 가장 가혹한 계절이다. 낮은 습도와 기온은 피부의 수분을 빼앗아 가뜩이나 약해진 피부 장벽을 더욱 쉽게 무너뜨리고, 이는 곧 염증의 악화로 직결된다. 가려움증이 심해진다고 해서 무심코 긁는 행위는 절대 금물이다. 피부에 상처나 자극이 가해지면 그 부위에 새로운 건선 병변이 생기거나 기존 병변이 더욱 악화되는 '쾨브너 현상'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려대 안암병원 피부과 김대현 교수는 "겨울철에는 보습제를 평소보다 훨씬 더 자주, 충분히 발라 피부 장벽을 보호하고, 가렵더라도 긁거나 때를 미는 등의 물리적 자극을 최소화하는 것이 건선 악화를 막는 가장 중요한 생활 수칙"이라고 강조했다.

 

성공적인 건선 관리를 위해서는 치료와 더불어 체계적인 생활습관 개선이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연말연시 잦아지는 술자리와 기름진 음식 섭취, 과식 등은 체내 염증 수치를 높이고 체중 증가를 유발해 건선을 악화시키는 주범으로 꼽힌다. 또한, 과도한 스트레스는 면역 체계를 교란시키는 직접적인 원인이 되므로 충분한 휴식과 수면, 명상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노력이 필수적이다. 김대현 교수는 "건선은 꾸준히 관리해야 하는 만성 질환임을 인지하고, 감기 같은 감염성 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개인위생을 철저히 하는 등 몸의 전반적인 면역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피부 염증을 최소화하는 핵심"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