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box
트럼프, 노골적인 '러시아 편들기' 종전안... 거부하는 젤렌스키에 '뒤끝'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이 구상한 종전 시나리오를 우크라이나가 적극적으로 수용하지 않는 데 대한 불만을 노골적으로 터뜨렸다. 그는 23일(현지시간) 자신의 소셜미디어인 트루스소셜을 통해 "미국과 우크라이나에 강력하고 제대로 된 리더십이 있었다면 이 격렬하고 끔찍한 전쟁은 절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하며 현 바이든 행정부와 젤렌스키 정권을 동시에 비판했다. 2020년 대선에서 자신이 승리했다면 푸틴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지 않았을 것이라는 기존의 주장을 반복하면서, 대화의 칼끝을 우크라이나와 유럽으로 돌려 불편한 심기를 숨기지 않았다.트럼프 대통령은 특히 "우크라이나의 리더십은 우리의 노력에 고마움을 전혀 표현하지 않았다"고 직격하며 서운함을 드러냈다. 그러나 이는 사실과 명백히 다른 주장이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미국의 지원에 깊은 감사를 표명해왔다. 심지어 트럼프 대통령이 불만을 토로한 바로 그날에도 젤렌스키 대통령은 엑스(X)에 장문의 글을 올려 "재블린 미사일을 시작으로 우크라이나 국민의 생명을 구해준 미국의 지원과 모든 미국인, 그리고 트럼프 대통령 개인에게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에 감사드린다. 유럽에 감사드린다"고 거듭 강조하며 국제사회의 연대에 고마움을 전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애써 외면하는 듯한 태도를 보였다.

젤렌스키 대통령의 거듭된 감사 표시에도 트럼프 대통령이 '배은망덕' 프레임을 꺼내 든 배경에는 자신이 설계한 평화 협상안을 수용하라는 강력한 압박의 의도가 깔려있다. 현재 트럼프 행정부는 총 28개 조항으로 구성된 평화 구상을 마련해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양측에 오는 27일까지 수용할 것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이 구상이 영토 문제를 포함한 여러 쟁점에서 러시아에 상당히 유리한 내용을 담고 있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제안을 두고 깊은 고심을 거듭하며 논의를 진행하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답답하게 여기는 기색이 역력하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의 속내는 기자회견장에서의 답변을 통해 더욱 선명하게 드러났다. 그는 전날 백악관에서 '젤렌스키 대통령이 시한까지 구상을 수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느냐'는 기자의 질문에 "그러면 그는 마음껏 전쟁을 계속할 수 있다"고 퉁명스럽게 답했다. 이는 사실상 자신의 제안을 거부할 경우, 향후 미국의 지원 여부와 관계없이 우크라이나가 전쟁의 모든 책임을 스스로 져야 할 것이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는 발언이다. 사실상의 최후통첩을 날리며, 친러시아적 해법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지원 중단'이라는 카드까지 만지작거릴 수 있음을 시사한 셈이다.








